텍스트 AI 탭이란?
텍스트 AI 탭은 다양한 기능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를 자동 분석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형태소 분석 기반의 워드클라우드부터 주제 분석, 감정 분석, 텍스트 번역까지 [텍스트 AI] 버튼을 통해 대화형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도 이 탭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는 텍스트 AI 탭의 화면 구성과 각 기능의 위치 및 역할을 안내합니다.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은 텍스트 AI 이해하기를 참고해 주세요.
텍스트 AI 탭 화면 구성
① 왼쪽 사이드바
텍스트 변수 탐색 및 제어 영역으로, 설문에 포함된 텍스트 변수의 개수 및 유형을 확인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
변수 검색: 원하는 변수명을 직접 검색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변수 유형별 보기: 유형별 텍스트 변수 개수가 표시되며, 체크박스를 통해 특정 유형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설문 데이터: 변수 번호, 유형, 질문 내용을 카드뷰 형태로 간략히 표시하며, 각 카드를 클릭하면 해당 변수의 분석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적용된 AI 기능은 배지로 확인 가능합니다.
② 텍스트 크레딧
사용자가 속한 데이터스페이스에서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 크레딧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상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 총 구매한 텍스트 크레딧에서 ‘사용 완료’와 ‘사용 예약’ 크레딧을 차감한 잔여 수량입니다. 유효 기간은 현재 구독 중인 플랜의 종료일과 동일합니다.
사용 예약: 현재 분석 중으로, 아직 완료되지 않은 건에 대해 예약된 크레딧 수량이 표시됩니다.
사용 완료: 실제 분석에 사용되어 소진된 크레딧 수량입니다.
총 구매: 지금까지 구매한 전체 텍스트 크레딧의 총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구매: [추가 구매] 버튼을 클릭하면 구매 문의 페이지로 이동하여 상품 상담이 가능합니다.
📌 꼭 알아두세요!
③ ai 분석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주제 분석, 감정 분석, 번역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AI] 버튼을 선택하면 챗봇 ‘오시스턴트’와 연결되며, 오시스턴트가 각 분석 과정을 안내하고 지원합니다.
④ 분석 결과 보기 (상단 영역)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 결과는 상단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영역에서는 질문 내용, 총 응답 수, 원본 응답 및 중요 응답, 워드클라우드, 키워드 테이블 등 주요 정보와 시각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 및 응답 현황
질문 내용: 응답자에게 제시된 질문 내용이 표시됩니다.
총 응답 수: 해당 변수의 응답자 수가 표시됩니다.
◾원본 응답: ‘분석’ 탭에서 별도의 화면 이동 없이 응답 원문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검색: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해 관련 응답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중요 응답: 응답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해 해당 응답을 중요 응답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중요 응답만 필터링하여 따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응답 복사: 응답 내용을 클립보드에 복사할 수 있습니다.
◾워드클라우드: 오픈서베이의 고유 알고리즘을 활용해 공통적으로 많이 언급된 단어를 자동으로 도출한 시각화 자료입니다. 단어의 언급 빈도에 따라 글자 크기와 색상이 다르게 표시됩니다.
형태소 분석
: 기존 워드클라우드에서 명사/동사/형용사만 추출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적용 시 워드클라우드와 키워드 테이블에 모두 반영됩니다.
이미지 다운로드
: 생성된 워드클라우드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테이블: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해당 키워드의 빈도를 최대 80개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언급 빈도가 높은 순으로 정렬됩니다.
키워드 테이블 복사
: 키워드 테이블을 클립보드에 복사할 수 있습니다. 복사한 내용은 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 등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붙여넣기] 또는 Ctrl + V 단축키를 통해 삽입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숨김/숨김 해제
: 특정 키워드를 워드클라우드 및 키워드 테이블에서 숨기거나, 숨김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숨김 처리된 키워드는 시각화에서 제외됩니다.
필터
: 형태소 분석 후 추출된 명사, 동사, 형용사 중 원하는 품사만 선택하여 워드클라우드 및 키워드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분석
: 형태소 분석을 다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
⑤ 분석 결과 보기 (하단 영역)
하단 영역에서는 [AI 분석]을 통해 생성된 주제 분석 결과와 감정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번역 결과는 새로운 변수로 생성되며, 왼쪽 사이드바에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주제 분석: 텍스트 데이터에서 공통된 주제와 의견을 도출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버블 차트: 상단 차트에서 응답이 주제별로 분류되어 표시됩니다. 자주 언급된 주제일수록 더 크게 표시되며, 각 주제를 언급한 응답 수가 함께 표기됩니다.
응답 요약: 주요 주제별로 분류된 응답이 어떤 맥락에서 언급되었는지 요약하여 보여줍니다. 각 주제 옆의 [∨]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주제에 속한 원본 응답 일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없음, 기타 보기
: 특정 주제로 분류되지 않은 응답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차분석
: 엑셀 피벗 테이블 없이도 집단별·변수별 비교 분석이 가능합니다.
이미지 다운로드
: 버블 차트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감정 분석: 텍스트 응답이 긍정/중립/부정 중 어떤 감정에 가까운지 자동으로 분류하여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게이지 차트: 상단 차트에서 응답 내용이 감정별로 분류되어 건수와 비율이 표시됩니다. 중앙에는 긍정 응답 수가 강조되어 나타납니다.
응답 요약: 감정 분류된 응답의 주요 내용을 요약해 보여줍니다. 감정별 [∨]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감정에 속한 원본 응답 일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분류 보기
: 감정으로 분류되지 않은 응답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차분석
: 감정 분석 결과도 집단별·변수별로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다운로드
: 게이지 차트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⑥ 응답자 필터 설정바
우측의 '응답자 필터 설정바'를 통해 전체 응답자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응답자만 필터링하여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터 추가를 선택해 특정 변수의 응답을 기준으로 필터를 설정할 수 있고 ‘고급 필터’ 를 이용해 좀 더 복잡한 필터 기준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참고 문서: 응답자 필터 설정 더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