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분석이란?
주제 분석은 개별 응답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텍스트 데이터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공통 주제와 의견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A 브랜드를 가장 구입하고 싶은 이유를 묻는 문항에서 '음질이 좋을거 같아서', '음질 기대됨', '음질이 좋다고 들어서'와 같은 응답이 수집되었다면 [음질]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자동 분류되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I 분석 실행 전, 꼭 알아두세요!
이 분석은 [GPT]를 사용해 AI 기반의 분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openAI의 API 사용 약관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는 부정 사용 모니터링 목적으로 openAI의 서버에 최대 30일까지 저장되고 그 이후 완전히 삭제됩니다.
텍스트 AI 탭은 플랜을 구독하더라도 텍스트 크레딧이 충전되어야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크레딧은 주제 분석, 감정 분석, 텍스트 번역 시 사용되며 응답 1건에 크레딧 1개가 차감됩니다. (워드클라우드 형태소 분석, 텍스트 그룹핑은 크레딧 차감 없이 이용 가능합니다.)
보유한 크레딧이 부족할 경우에는 링크를 통해 추가 구매를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분석은 변수 목록 화면에서 숨김 처리되어 있지 않은 유효 응답에만 적용됩니다.
주제 분석 사용하기
1) 텍스트 AI 탭 왼쪽 사이드 바에서 분석할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해 주세요.
2) 오른쪽 상단의 [AI 분석] 버튼을 클릭하면 챗봇 오시스턴트가 열리며, 필요한 분석 과정을 안내합니다.
3) 오시스턴트의 안내에 따라 주제 분석을 선택합니다. 주제 분석은 텍스트 데이터가 있을 때 활성화됩니다.
4) [기존에 분석된 주제 활용하기] 또는 [주제 분석 새로하기] 중 원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기존에 분석된 주제 활용하기: 과거에 같은 스페이스에서 진행된 주제 분석 결과 변수를 불러와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접근 권한이 있는 프로젝트의 결과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제 분석 새로하기: ‘기존에 분석된 주제 활용하기’를 사용하지 않고, AI 가 새로운 주제 분석을 실행합니다.
5) 다음 단계에서는 분석을 시작하기 전 분석할 응답 수, 분석 기능, 차감 예정 크레딧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속 진행하려면 [예]를 선택합니다.
6) 분석은 보통 2시간 이내에 완료되지만, 응답 수가 1,000건 이상일 경우 최대 48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창을 닫아도 분석은 계속 진행됩니다.)
7) 분석이 완료되면 워드클라우드 아래에서 전체 응답에 대한 공통 주제와 의견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결과 탭, 교차분석 탭, 보고서 탭에서도 주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분석이 적용된 변수는 왼쪽 사이드바 설문 데이터 영역에서 배지로 표시됩니다.
버블 차트 활용 방법
텍스트 AI 탭에서 제공되는 이 기능은, 응답을 주제별로 자동 분류하고 결과를 버블 차트로 시각화합니다. 버블 차트는 이미지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없음’과 ‘기타’ 보기까지 포함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특정 주제 확인
버블 차트에서는 언급 빈도가 높은 주제가 더 크게 표시되며, 각 주제를 언급한 응답 수가 함께 제공됩니다. 특정 주제를 클릭하면 해당 주제의 응답 요약으로 이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 아래 이미지에서 ‘전반적 만족’을 클릭하면, 응답 요약 내 동일 항목이 강조되며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
2) AI 요약
차트 하단에서는 각 주제에 묶인 응답 전체를 1~2문장으로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동일 주제로 묶인 요약 응답을 통해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원본 응답
응답 요약에서 주제별 [∨] 버튼을 클릭하면, MMR 알고리즘을 통해 선정된 원본 응답의 일부를 최대 5개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함께 알아두면 좋은 내용
◾기존에 분석된 주제 활용하기
같은 설문에서 장기간 데이터를 수집하며 주제 분석을 여러 번 시행할 때, 최대한 동일한 주제명을 유지하여 시계열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 내내 수집 중인 백화점 NPS 점수 이유 문항에서 3월 분석 결과 ‘접근성 좋음’이라는 주제명이 나왔다면, 8월까지 수집 후 주제 분석을 다시 시행할 때에도 ‘좋은 접근성’, ‘접근하기 좋음’ 등이 아니라 정확히 ‘접근성 좋음’이라는 주제가 나오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제 분석 새로하기
새로운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주제 분석을 새롭게 수행합니다. 주로 신규 설문이나 기존 분석과 비교하지 않고 독립적인 주제 파악이 필요할 때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목적이랑 어떤 상황에서 쓰면 좋을지에 대해 추가하기
◾기타, 미분류 보기
분석 과정에서 주제로 분류되었지만 공통되는 주제가 지나치게 적은 경우는 기타로, 특정 주제로 분류할 수 없는 응답은 미분류 보기로 표시됩니다. 전체 응답 경향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본 결과에서는 기타와 미분류 보기가 제외되어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