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도 점수란?
응답의 신뢰성을 높이고 보다 유의미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불성실한 응답 가능성이 있는 항목을 기준으로 응답 성실도 점수(Sincerity Score)를 산출합니다.
응답별 Sincerity Score는 [분석 > 응답]의 sincerity_score 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열이 보이지 않는 경우, [변수 불러오기]를 클릭 후 [메타 데이터 > sincerity_score]를 선택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점수 범위: 0~100점
산출 방법: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제외하여 최종 점수를 계산
불성실 판단 기준
응답이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불성실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응답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
텍스트 응답에 의미 없는 문구가 포함된 경우 (예: "아무거나", "네네")
텍스트 응답 길이가 매우 짧은 경우
평가형 응답(예: NPS, 점수형)에서 4문항 이상 동일한 점수 부여 또는 점수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
다중 선택형 문항에서 모든 보기 항목을 선택한 경우
응답 성실도 및 항목별 점수 확인 방법
응답 탭에서 [변수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타데이터를 선택한 후, 하단의 '숨김 변수 노출' 체크 박스를 클릭합니다.
확인하고 싶은 내용을 선택한 후 하단의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resp_avg: 문항별 평균 응답 시간
resp_elapsed: 전체 응답 소요 시간
eval_var: 평점 응답의 분산
text_len_avg: 텍스트 응답의 평균 길이
text_insincerity_cnt: 불성실한 텍스트 응답 개수
multi_all_ratio: 객관식 문항에서 모든 선택지를 고른 비율
📌 함께 알아두면 좋은 정보
Sincerity Score 점수를 바탕으로 [원클릭 클리닝]의 기준 점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이을 통해 불성실 응답이나 문항에 대한 오해로 인한 오응답, 전체 경향에서 벗어나는 이상치 등을 제외하고 데이터를 정제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나 분석 상황에 따라 응답 성실성 판단 기준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점수보다는 텍스트 내용, 응답 속도 등 다른 정보를 기반으로 클리닝을 수행하고, 이후 점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