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전체와 비교·집단 간 비교 알아보기

이번 주에 업데이트함

교차분석의 비교 분석 기능은 특정 집단의 응답 경향이 전체 또는 다른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정하고,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제공합니다.

통계적 유의성을 바탕으로 데이터 간 차이를 정교하게 파악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부분만 자동으로 하이라이트하여 숫자를 다 보지 않고도 집단 간 차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체와 비교

‘전체와 비교’는 각 집단의 응답 비율이 전체 집단의 평균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지를 검정하고, 그 결과를 컬러코딩을 통해 시각화하는 기능입니다.

  • 붉은색: 전체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값

  • 푸른색: 전체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값

이 기능은 전체 평균이라는 하나의 기준점 대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로 이해하는 전체와 비교

◾분석 목적

평소 검색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가 연령대별로 얼마나 다른지 확인하려고 합니다. 만 15세 ~ 64세 남녀를 대상으로 ‘궁금한 것을 찾아보기 위해 가장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를 질문했습니다.

◾설정 및 결과 확인 방법

  1. 교차분석 탭에서 비교 모드를 ‘전체와 비교’로 설정합니다.

  2. 열(분석 기준)에 10세 단위로 구분된 ‘라이프스타일 나이’ 변수를, 행(분석 대상)에는 ‘검색 목적으로 가장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 변수를 넣습니다.

  3. 설문에 응답한 전체 연령(15~64세)의 평균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거나 낮은 셀에 컬러코딩이 적용됩니다.

  4. 예를 들어, 15~24세에서 인스타그램을 검색 목적으로 가장 자주 이용한다고 응답한 비율(24.5%)이 전체 연령 평균(17.3%) 대비 유의미하게 높아 붉은색 컬러코딩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연령, 성별, 지역, 구매 경험 등의 기준으로 응답 집단을 세분화해 분석하면, 전체 집단에 비해 도드라지는 특정 집단만의 특징을 발견하고,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집단 간 비교

‘집단 간 비교’는 하나의 분석 기준 내에서 선택한 기준 집단과 다른 집단 간의 응답을 비교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기능입니다.

  • 기준 집단(예: A)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경우: 기준 집단(예: A)의셀에 알파벳(예: B, C) 표시

  • 기준 집단(예: A)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경우: 타 집단(예: B, C)의 셀에 붉은색 표시

이 기능은 기준 집단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반응 차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세그먼트별 차이 비교, 서비스/제품이나 컨셉, 네이밍에 대한 평가 비교 등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예시로 이해하는 집단 간 비교

◾분석 목적

국가별로 생성형 AI(ChatGPT/Gemini)를 사용하는 목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합니다. 한국, 미국, 일본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질문했습니다.

◾설정 및 결과 확인 방법

  1. 교차분석 탭에서 비교 모드를 ‘집단 간 비교’로 설정합니다.

  2. 열(분석 기준)에는 ‘국가’ 변수를, 행(분석 대상)에는 ‘생성형 AI 사용 목적’ 변수를 넣습니다.

  3. 한국, 미국, 일본 각 국가에 A, B, C 컬럼 구분자가 생기고, 국가간 차이를 한 번씩 비교하여(A-B, A-C, B-C)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알파벳을 각 셀 아래에 표기합니다.

  4. 예를 들어, 생성형 AI를 ‘정보 스크랩/요약’ 목적으로 사용하는 비율은 한국이 36.2%로, 나머지 두 나라(미국 - 22.6%, 일본 - 21.1%) 대비 높습니다.

    • 한국 컬럼의 구분자 A를 클릭하면 한국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국가 셀에 붉은색으로 컬러코딩이 적용됩니다.

    • 예를 들어, 생성형 AI를 학습 및 자기계발 목적으로 사용하는 비율은 미국(44.1%)에서 한국(35.3%) 대비 유의미하게 높습니다.

📌 함께 알아두면 좋은 내용

  • 비교 분석은 교차분석 탭에서 설정한 신뢰수준(예: 80%)에 따라 자동으로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수행합니다.

  • 통계 검정은 응답 비율과 표준 오차를 고려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집단별 응답 수가 30건 미만일 경우에는 검정 결과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결과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비교 결과 해석 시, 문항 유형(단일/복수 응답), 표본 구성, 문항 위치 등 분석 맥락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