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스크리닝 알아보기

데이터스페이스를 통해 응답자를 스크리닝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이번 주에 업데이트함

스크리닝 이해하기

  • 스크리닝: 설문 응답 내용을 기반으로 설문 참여자를 선별하는 과정입니다.

  •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문에 참여할 응답자를 선별하는 기준입니다.

  • 스크리닝 블록: 스크리닝 블록은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정에 쓰일 문항을 담는 블록입니다.

예를 들어, 최근 1개월 내 온라인 채널에서 신선식품을 구매한 사람을 선별한 후,
신석식품 온라인 구매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묻는 설문을 진행해야 한다면 각각이 아래와 같습니다.

스크리닝 블록

  • Q1: 귀하께서 최근 1개월 내 구매해보신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 Q2: 귀하께서 최근 1개월 내 신선식품을 구매하신 채널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스크리닝 통과 조건

  • 아래 조건을 AND 관계로 충족

    • Q1 선택 보기 중 '신선식품' 포함

    • Q2 선택 보기 중 온라인 채널 1개 이상 포함

📌 함께 알아두면 좋을 내용

  • 블록은 설문 문항을 묶어 논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단위입니다.

  • 스크리닝 블록은 블록의 한 유형으로,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정에 쓰일 문항을 묶는 단위입니다. 스크리닝 통과자에게 질문할 문항은 '스크리닝 블록'이 아닌 다른 블록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스크리닝 블록을 통해 스크리닝 설정하기

  • 스크리닝 블록이 없는 것이 기본 상태입니다. '스크리닝' 오른쪽 [+] 버튼을 눌러 스크리닝 블록을 추가해 주세요.


  • [+] 버튼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스크린아웃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를 설정하는 모달이 열립니다. 스크리닝 통과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응답자는 스크리닝 블록까지만 응답하고 종료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경우에 이동할 종료 페이지를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선택해 주세요.

  • 추가된 스크리닝 블록 안에 스크리닝 통과 조건으로 활용할 문항을 추가해주세요.

    📌 함께 알아두면 좋을 내용

    • 문항 추가·복사·삭제·숨김/해제하기 기능은 해당 아티클을 참고해 주세요.

  • 스크리닝 블록으로 묶일 문항을 모두 추가했다면, 중앙의 문항 편집 영역에서 '스크리닝 설정'을 할 차례입니다. 먼저, 설문 편집에서 설정해둔 뷰에 따라 아래 경로에서 '스크리닝 설정' 모달을 열어 주세요.

    • 목록형 뷰: 스크리닝 블록의 가장 마지막 문항 뒤 '스크리닝 설정' 영역의 [설정] 버튼을 눌러 주세요.

    • 문항형 뷰: 스크리닝 블록으로 묶인 문항의 상단에서 [스크리닝 설정] 버튼을 눌러 주세요.

    • 아래와 같이 '스크리닝 설정' 모달이 열리면, '스크리닝 통과 조건'과 '스크린아웃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 '오버쿼터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를 지정 주세요.


      1.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정한 조건을 충족한 응답자는 이어지는 문항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설정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응답자는 '스크린아웃'되며, 종료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어지는 문항에 응답할 자격이 있는 응답자란 스크리닝 블록에서 어떤 응답을 한 응답자인지 정의해 주세요.

        👉 스크리닝 통과 조건은 문항 제시 로직의 '제시 조건' 설정과 동일합니다.
        관련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아티클을 참고해 주세요.

      2. 스크린아웃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 스크리닝 통과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응답자는 '스크린아웃' 됩니다. 이어지는 문항에 응답할 수 없으며 즉시 지정된 '종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때 이동할 '종료 페이지'를 정의해 주세요.

      3. 오버쿼터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 응답자가 스크리닝 블록에 응답하는 도중, 수집에서 설정한 '완료 응답 수'가 모두 충족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스크리닝 통과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이어지는 문항에 응답할 수 없으며, 즉시 지정된 '종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때 이동할 '종료 페이지'를 정의해 주세요.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