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스크리닝 알아보기

데이터스페이스를 통해 응답자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오늘 업데이트함

스크리닝 이해하기

  • 스크리닝: 설문 응답 내용을 기반으로 설문 참여자를 선별하는 과정입니다.

  •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문에 참여할 응답자를 선별하는 기준입니다.

  • 스크리닝 블록: 스크리닝 블록은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정에 쓰일 문항을 담는 블록입니다.

예를 들어, 최근 1개월 이내 온라인 채널에서 신선식품을 구매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가정해 봅니다.

스크리닝 블록

  • Q1: 귀하께서 최근 1개월 내 구매해보신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 Q2: 귀하께서 최근 1개월 내 신선식품을 구매하신 채널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

스크리닝 통과 조건

  • 아래 조건을 AND 관계로 충족

    • Q1 선택 보기 중 '신선식품' 포함

    • Q2 선택 보기 중 온라인 채널 1개 이상 포함

📌 함께 알아두면 좋을 내용

  • 블록은 설문 문항을 묶어 논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단위입니다.

  • 스크리닝 블록은 블록의 한 유형으로,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정에 쓰일 문항을 묶는 단위입니다. 스크리닝 통과자에게 질문할 문항은 '스크리닝 블록'이 아닌 다른 블록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스크리닝 블록을 통해 스크리닝 설정하기

  • 기본 상태에서는 스크리닝 블록이 비어 있습니다. 스크리닝 기능을 사용하려면, ‘스크리닝’ 오른쪽의 [+] 버튼을 클릭해 스크리닝 블록을 추가해 주세요.


  • [+] 버튼을 선택하면, ‘스크린아웃 응답자의 이동 위치’를 설정하는 모달이 표시됩니다. 스크리닝 통과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응답자는 스크리닝 블록까지만 응답한 후 종료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응답자가 이동할 종료 페이지를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눌러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

  • 스크리닝 블록이 추가되면, 해당 블록 안에 통과 조건으로 사용할 문항을 등록해 주세요.

    📌 함께 알아두면 좋을 내용

    • 문항 추가·복사·삭제·숨김/해제하기 기능은 해당 아티클을 참고해 주세요.

  • 스크리닝에 활용할 문항들을 모두 추가했다면, 이제 ‘스크리닝 설정’을 진행할 차례입니다. 스크리닝 설정은 설문 편집 화면의 뷰 유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목록형 뷰: 스크리닝 블록의 마지막 문항 아래에 있는 ‘스크리닝 설정’ 영역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문항형 뷰: 스크리닝 블록으로 묶인 문항 상단의 [스크리닝 설정]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아래와 같이 '스크리닝 설정' 모달이 열리면, '스크리닝 통과 조건'과 '스크린아웃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 '오버쿼터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를 지정해 주세요.


      1. 스크리닝 통과 조건: 설정한 조건을 충족한 응답자만 이어지는 문항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반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응답자는 ‘스크린아웃’ 처리되어 종료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즉, 어떤 응답을 한 경우에 이후 문항 응답 자격이 있는지를 스크리닝 블록 내에서 정의해 주세요.

        👉 스크리닝 통과 조건은 문항 제시 로직의 '제시 조건' 설정과 동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아티클을 참고해 주세요.

      2. 스크린아웃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 스크리닝 통과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응답자는 이어지는 문항에 응답할 수 없으며, 지정된 ‘종료 페이지’로 즉시 이동합니다. 이때 응답자가 이동할 종료 페이지를 설정해 주세요.

      3. 오버쿼터 응답자가 이동할 위치: 응답자가 스크리닝 블록에 응답하는 도중, 수집 대상 응답 수가 이미 충족된 경우에는 스크리닝 통과 조건에 부합하더라도 더 이상 이어지는 문항에 응답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오버쿼터 응답자도 즉시 지정된 ‘종료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므로, 해당 종료 페이지를 미리 정의해 주세요.




답변이 도움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