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용 IP 설정이란?
허용 IP 설정 기능은 사용자가 데이터스페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IP를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허용 IP 설정은 Security 권한을 가진 멤버가 데이터스페이스 설정 영역에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허용 IP 설정하기
1) 데이터스페이스 홈 화면 왼쪽 GNB에서 설정 > 데이터스페이스 설정 > 보안 화면에 접속합니다.
2) 보안 화면의 ‘허용 IP 설정’ 영역에서 [변경] 버튼을 눌러 허용 IP 설정 화면에 접속합니다. 여기서 팀 전체 허용 IP 혹은 멤버별 허용 IP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팀 전체 허용 IP: 스페이스 멤버 전체에게 일괄적으로 접근 허용 IP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설정 이후에는 스페이스 사용자 모두가 허용된 IP로만 데이터스페이스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멤버별 허용 IP: 스페이스 일부 멤버의 접근 허용 IP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설정 이후 해당 멤버는 허용된 IP로만 데이터스페이스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3-1) 팀 전체 허용 IP 설정 화면에서 [+ 팀 전체 허용 IP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팝업창에서 허용할 IP와 관련 메모를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허용 IP: 접근 허용할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CIDR 표현법을 이용해서 IP 범위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 허용 IP에 대한 간단한 메모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최대 20자까지 입력 가능합니다.
3-2) 멤버별 전체 허용 IP 설정 화면에서 [+ 멤버별 허용 IP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팝업창에서 멤버를 선택하고 허용할 IP와 관련 메모를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멤버 선택: 텍스트를 입력해서 이메일을 검색하거나 오른쪽 드롭다운 버튼을 눌러 스페이스를 이용하고 있는 멤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허용 IP: 접근 허용할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CIDR 표현법을 이용해서 IP 범위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 허용 IP에 대한 간단한 메모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최대 20자까지 입력 가능합니다.
4) 등록한 IP 주소는 팀 전체 허용 IP 설정 리스트에서 확인 및 삭제할 수 있습니다.
5) 허용 IP 설정 이후에는 반드시 오른쪽 상단의 [저장] 버튼을 눌러 변경 옵션을 저장해 주세요. 저장하지 않고 창을 나갈 시 변경 사항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 꼭 기억하세요
허용 IP 설정값은 설정 이후 다시 로그인 할 때부터 적용됩니다.
팀 전체 허용 IP 설정은 스페이스를 함께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일괄 적용됩니다.
개별 멤버의 허용 IP 설정이 필요하다면 멤버별 허용 IP 설정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