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탯인사이트에 대해 궁금해요 (FAQ)

스탯인사이트는 교차분석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발견 점만 선별해 자연어 형태로 읽어주는 기능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탯인사이트의 구체적인 추출 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1주 전에 업데이트함

Q1. 모든 문항에 스탯인사이트가 적용되나요?

스탯인사이트는 보고서 탭이 객관식 단일·중복·순위형 문항, 평가형 문항, 주관식 숫자형 문항 결과에 적용됩니다. 주관식 문자형 및 전화번호 등 특수형 문항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Q2. 객관식·평가형·주관식 숫자형 문항인데 스탯인사이트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객관식·평가형·주관식 숫자형 문항이라도 아래 조건에 부합한다면 스탯인사이트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객관식 문항의 전체 보기가 딱 1개인 경우

  • 객관식 순위형 문항에서 전체 기준으로 3위까지 응답률이 모두 동일한 경우

  • 객관식·평가형·주관식 숫자형 문항에서 모든 분석 단위의 응답자 수가 30명 미만인 경우

  • 분석 단위 기준으로 집단 간 응답 차이가 없는 경우

Q3. 스탯인사이트로 분석 방법을 추천받을 수는 없나요?

분석 단위 관련 문제로 스탯인사이트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현재 분석 단위 기준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류의 안내가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결과 데이터에 잠재적 이상치 가능성이 있을 때도 스탯인사이트가 분석 시 유의해야 한다는 안내를 합니다. 이때는 분석 시 주의사항을 꼭 숙지하시기를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었나요?